임베디드 레시피 - 친절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 되기 강좌
친절한 임베디드 개발자되기 강좌입니다. 임베디드 레시피
recipes.tistory.com
책샀다
임베디드라는 숲을 넓고 쉽게 보기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 안에 있는 나무랑 버섯 공부는 실무와 프로젝트로 차차 알아보도록 하자
640쪽짜리 책이고... 설명이 간단하고 수식 없이 휙휙 넘어가서 좋다
40페이지까지 읽었다
신호의 주파수적 해석과 초간단 RLC 수동소자와 트랜지스터에 대한 쉬운 설명이 40페이지에 개쉽게써져있다
모든 신호는 주파수가 다른 사인파와 코사인파로 분해할 수 있고 그걸 위해 푸리에트랜스폼 사용
sinc function은 Rect함수를 푸리에변환한 것이고 Rect함수는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적 디지털신호라고 생각하면 되겠음
sinc function은 저주파 + 덜 저주파 + 덜덜 저주파.... 의 합으로 만들 수 있다
Fourier Series Applet
This applet demonstrates Fourier series, which is a method of expressing an arbitrary periodic function as a sum of cosine terms. In other words, Fourier series can be used to express a function in terms of the frequencies (harmonics) it is composed of. To
falstad.com
저주파는 DC라고 생각하고 고주파는 AC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지만 ideal하지 않다면 디지털 신호는 bounce하고 이로 인한 문제 발생
전원의 경우에도 초기에 전류를 더 끌어쓰는 bounce 발생 -> 디커플링/바이패스 커패시터를 늘어놓자
그라운드는 기준 전압 또는 -극으로 쓴다
디지털 회로에서 1과 0의 기준을 잡기 위해 쓴다
왜 디지털을 쓰냐? -> 아날로그보다 오류를 복구하기도 좋고 CDMA의 경우 채널을 달리에 다양한 이용자가 쓸 수 있다
0옴 저항이라는 게 있는데 이녀석은 회로 개발자들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자 (잘 보이고, 핀을 찍어보기도 좋음)
저항은 전류를 조절하는 수도꼭지
근데 C랑 L은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얘들은 주파수를 탄다)
C는 전기장의 영향이 크고 고주파를 쉽게 통과
L은 자기장의 영향이 크고 고주파를 어렵게 통과
임피던스는 R L C를 복소수로 표현한 것
커패시터랑 콘덴서는 둘다 C를 말하지만 커패시터는 이상소자의 느낌이 더 강함
트랜지스터는 Trans Resistor이고, npn pnp가 있다
trans resistor 답게 스위치를 꾹 누르거나 살짝 누르면서 전류의 흐름을 조절한다고 생각하자
Base에 넣어주는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동작이 결정된다. saturation active cutoff
보통 switch on /증폭기 /switch off의 역할을 한다
트랜지스터 증폭회로는 3종류가 있는데.. 어느 핀이 접지되었는가로 구분한다.
에미터접지 : 전류전압증폭 입출력 역상(일반적 증폭기)
콜렉터접지 : 전류증폭 입출력동상(최종단 전류증폭 또는 임피던스 매칭용?)
베이스접지 : 전압증폭 입출력동상(고주파특성 굿)
요약 :
- 푸리에 변환
- Rect(t) 와 Sinc(x)
- 저주파와 고주파
- DC와 AC, bounce
- 그라운드와 0옴저항
- R L C의 저주파(DC)해석
- R L C의 고주파(AC)해석
- 트랜지스터의 3가지 동작 영역
- 트랜지스터의 3가지 증폭 회로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폰 노이만 구조 vs 하버드 아키텍쳐 (0) | 2023.11.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