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준, 대외활동/커널360

사전과제 5일차 : 객체의 역할과 접근제어

사전과제 2,3,4일차는 어디로 갔나요? -> 공부를 잘 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거치고 왔다

일을 잘 하려면 휴식도 중요한 법....................................이지만

너무놀았다

 

강의 2장 요약 : 이전에 설명했듯이 객체는 자신의 역할이 있고 클래스 이름을 보고 대강 유추가 가능함
DTO, VO : 데이터를 담고,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매개변수가 많은 함수에 매개변수 대신 객체를 넣어주자.
DAO(data access obj) : CRUD 동작이나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SQL 명령어를 생각하면 된다. 저장/검색/수정/삭제
Utility : DTO VO DAO가 아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클래스로 만든 거. java.util패키지에 뭐가 많다.

scanner 객체를 만들어 입력을 받고, 입력 사이사이 버퍼를 비우기 위해 scan.nextLine()을 해준다.

 

강의 3장 요약 : 접근권한, 패키지, 클래스 접근 이름, 클래스 접근 방법

객체지향의 대표적 특징 4가지를 복습해 보자. 추상화/캡슐화/상속/다형성
객체지향의 캡슐화를 위해, 접근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접근제어 4가지 (Access Modifier)
패키지 : A에서 B로 접근할 때 B를 감싸고 있는 패키지가 있다면 패키지가 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 패키지가 지갑 같은 느낌. 패키지 안에 있는 객체는 패키지 바깥에서 바로 접근할 수 없다.

3-1: 객체 접근 권한 이해
클래스 간 접근제어가 필요한 이유 - 객체의 상태정보는 중요(정보은닉) / 객체의 행위정보는 상호작용을 위해 접근 허용